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개인형IRP 해지 시 16.5% 세금 피하는 방법 아시나요?

by 리치 곰돌이 정 2025. 4. 13.
반응형

자택 마련을 위해 개인형IRP 해지할 때, 세금 부담 얼마나 될까요?
퇴직 후 개인형IRP에 입금한 금액이 어느덧 불어나 있는데, 전세금이나 주택매매 자금으로 써야 할 때가 오면 세금이 얼마나 나올지 고민되시죠.


주택 구입 위해 개인형IRP 해지할 경우, 어떤 세금이 붙을까?

퇴직 후 개인형IRP 계좌에 퇴직금을 입금해두셨다면, 언젠가 주택 자금 등으로 중도 해지해야 할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런데 세액공제를 받았던 IRP는 해지 시 '기타소득세'라는 이름의 세금이 붙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퇴직연금 개인형 irp 해지시 세금 계산 질문 지식인
퇴직연금 개인형 irp 해지시 세금 계산 질문 지식인

사례를 예로 들어 볼게요 – 해지 시 세금 얼마나 나올까?

2014년부터 근무하다 2021년에 퇴직한 A씨는, 퇴직금을 개인형IRP 계좌로 이체해 총 19,751,649원을 입금했고요.
시간이 지나 현재 잔액은 21,327,466원이 되었는데요.


이제는 전세 보증금이나 주택매매 자금으로 쓰기 위해 IRP를 중도 해지하려고 합니다.

 

이때 발생한 수익은 약 1,575,817원이며, IRP는 세액공제 혜택을 받았기 때문에 단순히 해지만 해도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개인형IRP 중도해지 시 세금 계산 방법

반응형

개인형IRP에서 중도 인출을 하게 되면,
세제 혜택을 받았던 납입금 전체 + 운용수익 전액에 대해

 

**기타소득세율 16.5%**가 적용됩니다.


(소득세 15% + 지방소득세 1.5%)

▶ 세금 계산 순서

  1. 과세 대상 금액 계산
      총 평가금액 = 21,327,466원
      세액공제 받은 납입금 = 19,751,649원
      → 과세 대상 = 21,327,466원
  2. 기타소득세 적용 (16.5%)
      21,327,466원 × 16.5% = 약 3,519,032원

약 351만 원 정도의 세금을 납부하게 됩니다


irp 해지 시 세금 부담은?
irp 해지 시 세금 부담은?

모든 해지가 다 과세 대상일까? 면제되는 경우도 있어요

개인형IRP 중도해지 시에도,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 비과세 해지 요건

  • 무주택자가 전세 계약 체결 또는 주택 구입을 위해 인출할 경우
  • 가입자 본인의 사망, 장애, 6개월 이상 치료 요양이 필요한 경우
  • 천재지변이나 파산, 폐업 등 긴급 상황

A씨처럼 무주택 상태에서 전세보증금이나 자가 매입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라면,
주택 계약서 등 관련 서류만 잘 준비하면 비과세 해지가 가능합니다.


세금 면제 가능한 경우
세금 면제 가능한 경우

해지 전 꼭 챙겨야 할 준비물

해지 시 불필요한 세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음과 같은 절차와 서류를 챙겨주세요.

▶ 준비할 서류

  • 전세 계약서 또는 주택 매매 계약서
  • 주민등록등본 (무주택 세대 증명용)
  • 무주택 확인서 (필요 시)
  • 금융기관에서 요구하는 신청서 및 증빙자료

▶ 절차 팁

  • 금융사 고객센터에 미리 문의하기
      각 기관마다 제출서류가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히 안내받는 게 좋아요.
  • 비과세 요건 충족 시 해지 신청
      요건을 만족하면 불필요한 기타소득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개인형IRP 해지를 앞두고 있다면

  • 전세 계약이나 주택 구입 계약을 체결했거나 준비 중이라면, 세금 없이 IRP를 해지할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어요.
  • 단, 단순한 소비 목적이나 대출 상환 등은 비과세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니 꼭 사유에 해당하는지 먼저 확인해보세요.
  • 이렇게 준비만 잘 해두면, 몇 백만 원의 세금을 줄이고 자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자금 필요 상황에서도, 준비만 잘 하면 세금은 충분히 줄일 수 있어요.
개인형IRP 해지 전에 꼭 비과세 조건을 먼저 확인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