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 통장에 모은 돈 2천만원, 증여세 신고 안 해도 되는 이유는?
부모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증여세 기준
세뱃돈, 용돈 등으로 미성년 자녀 명의 통장에 모아둔 2천만 원.
갑자기 "증여세 신고 안 하면 탈세 아냐?"라는 걱정이 드셨다면, 지금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실제로 10년간 아이 명의 통장에 천천히 모은 돈이라면, 세법상 '증여'로 보지 않습니다.
미성년자 통장에 모은 2천만원, 이건 증여일까?
세무서의 관점은 단순합니다.
자녀 명의 통장에 부모가 일정 금액을 직접 넣었다면 '증여',
하지만 세뱃돈, 축의금, 친인척의 용돈처럼 자녀가 직접 받은 돈은 증여가 아닙니다.
즉, 돈의 ‘출처’가 핵심입니다.
이런 경우라면 증여세 걱정 없습니다
- 통장 명의가 자녀 본인일 것
- 수년간 나눠 입금된 이력이 있을 것
- 현금 입금·이체 등의 증빙이 존재할 것
✔ 자녀가 직접 받은 돈이고 부모가 개입하지 않았다면 증여세 신고는 불필요합니다.
주의! 부모 통장으로 옮기면 어떻게 될까?
부모 통장으로 자녀 돈을 옮겼다가 다시 자녀에게 이체하면?
그 순간부터는 '부모가 자녀에게 2천만 원을 증여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즉, 기존에 자녀의 돈이었더라도 자금 흐름이 잘못되면 증여로 간주됩니다.
세금 리스크가 생기는 것이죠.
자녀 통장 그대로 두는 게 안전한 이유
- 이미 자녀 명의로 장기간 관리된 자산이기 때문
- 흐름이 자연스럽고, 출처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
- 굳이 신고하지 않아도, 실질적인 과세 대상이 아니기 때문
✔ 괜히 부모 통장 거치며 이체하면 불필요한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으니 그대로 두는 게 가장 현명합니다.
실전 팁 : 이렇게 관리하면 안심입니다
- 입금 내역은 간단하게 메모라도 해두세요.
- 매년 받은 세뱃돈, 용돈 등을 연도별로 정리해두면 좋습니다.
- 친인척에게 받은 경우 송금 내역이 있으면 더 확실합니다.
- 고액 입금은 가능한 한 나눠서 입금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미성년자 증여세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미성년 자녀는 얼마까지 증여세 없이 받을 수 있나요?
→ 10년 기준으로 2천만 원까지 증여세 면제입니다.
용돈이나 세뱃돈도 증여세 신고 대상인가요?
→ 자녀가 직접 받은 돈이라면 신고 대상 아닙니다.
자녀 통장에 한 번에 2천만 원 입금하면 문제 될까요?
→ 출처 설명이 가능하면 문제 없지만, 분산 입금이 더 안전합니다.
부모가 자녀 통장 관리하면 문제가 되나요?
→ 명의신탁으로 의심받을 수 있어 통장 관리는 자녀 중심이 좋습니다.
이미 부모 통장으로 옮겼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그 경우는 증여로 보고 신고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핵심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자녀 명의 통장에 실제 자녀가 받은 돈이라면,
굳이 증여 신고할 필요 없고 그대로 두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부모 명의 통장 거치면 오히려 세금 이슈 생깁니다.
'*경제 지식* > 금융·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직구 결제할 때 원화와 달러 중 어떤 게 더 이득일까? (0) | 2025.05.20 |
---|---|
4년 전 주택 구입자, 퇴직연금 중도인출 가능성은 제로일까? (0) | 2025.05.12 |
청약 1순위 받고 싶다면? 무주택세대원이 꼭 알아야 할 세대분리 방법 (0) | 2025.05.11 |
신혼부부 청약, 무주택기간 얼마나 지나야 가능할까? (0) | 2025.05.09 |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미충족 해결하는 종합소득세 신고법 (0)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