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금융·경제

실업급여 조건, 과거 직장 포함될까? 수급기간 헷갈릴 때

by 리치 곰돌이 정 2025. 5. 22.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과거 고용보험 가입 이력 전체를 기준으로 계산되며, 마지막 직장만으로 판단하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조건과 계산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면 놓치기 쉬운 혜택까지 챙길 수 있습니다.


헷갈리는 실업급여 수급기간, 기준은 어디까지일까?

실직이 눈앞에 닥치면 제일 먼저 머리에 떠오르는 게 바로 실업급여입니다.
그런데 이걸 받을 자격이 되는지 따지려면 기준이 뭔지부터 명확해야 하죠.

 

정말 현 직장만으로 따지는 걸까요?
그동안 짧게 다녔던 직장들은 소용이 없을까요?
이제 그 궁금증을 풀어보겠습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 질문
실업급여 수급기간 질문

과거 직장 경력도 실업급여 수급기간에 포함될까?

당연히 포함됩니다.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 이력 전체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 말은 곧,
현재 직장뿐만 아니라 이직했던 모든 직장의 경력이 합산된다는 뜻입니다.

 

고용보험법은 과거 18개월(또는 24개월) 이내에 고용보험에 가입된 기간이
180일 이상이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근무한 경력 요약

  • 2020.02.12 ~ 2020.08.21
  • 2021.02.17 ~ 2021.03.16
  • 2021.03.18 ~ 2021.07.31
  • 2022.11.15 ~ 2025.06.30 (계약만료 예정)

이 이력들을 다 합산해야 정확한 수급 가능 여부와 일수가 나옵니다.


실업급여 기준 이것만 알면 됩니다
실업급여 기준 이것만 알면 됩니다

실업급여 계산 방식은 이렇게 됩니다

  1. 최근 18개월~24개월 이내 고용보험 가입 이력 확인
  2.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인지 체크
  3. 위 기준을 충족하면 실업급여 수급 가능

수급일수는 이렇게 정해집니다

고용보험 가입기간수급일수

 

180일 ~ 1년 미만 120일
1년 이상 ~ 3년 미만 150일
3년 이상 ~ 5년 미만 180일
5년 이상 210~240일
 

예를 들어
2020년 이후 모든 직장에서 고용보험이 들어가 있었다면
5년 가까이 누적된 가입 기간이니 충분히 180일 이상 넘을 가능성이 큽니다.


수급일수 계산법
수급일수 계산법

이런 이유로 사람들이 자주 오해합니다

  • "마지막 직장만 기준인 줄 알았다"
  • "짧게 다닌 직장은 실업급여와 관계 없다고 생각했다"
  • "과거 실업급여 수급 이력이 있으면 안 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실상은,
과거 직장 포함해서 고용보험 가입기간을 모두 합산해야 하며
이전에 실업급여를 받았더라도, 1년 이상 경과하면 다시 신청 가능합니다.


실업급여 신청 시 체크리스트

반응형
  1. 퇴사 사유 확인
    • 계약만료, 권고사직, 정당한 자발적 이직 등
  2.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3. 수급 가능 여부 사전확인
    • 워크넷 → 구직등록 → 고용센터 방문 또는 전화 상담

실업급여 신청 체크리스트
실업급여 신청 체크리스트

실업급여 수급기간 계산 시 자주 하는 질문들

실업급여 기준은 현재 직장만 보나요?

→ 아닙니다. 고용보험 가입 이력 전체가 기준입니다.

예전에 받은 실업급여가 영향을 줄까요?

→ 1년 이상 지나면 새롭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중간에 공백기간이 있어도 되나요?

→ 네. 단, 피보험기간만 충족되면 괜찮습니다.

짧게 다녔던 직장도 포함되나요?

→ 고용보험 가입만 되어 있었다면 포함됩니다.

자발적 퇴사도 수급이 가능한가요?

→ 예외 사유가 인정되면 가능합니다.


지금 해야 할 실질적인 준비

✔ 과거 고용보험 가입이력 모두 확인
✔ 워크넷에서 구직등록 미리 해두기
✔ 고용센터 상담 예약 후, 수급 조건 재확인


실업급여 제대로 알고 받으세요
실업급여 제대로 알고 받으세요

실업급여 수급기간 계산, 헷갈리지 말자

현재 직장 기준으로만 따지는 게 아닙니다.
과거 고용보험 이력까지 포함해야 정확한 판단이 됩니다.
조금만 더 신경 쓰면 받을 수 있는 기간과 금액이 달라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