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를 떠나 전원에 집을 짓고 싶은데 건축비 부담이 너무 커서 고민되시죠?
이럴 땐 정부의 농촌주택개량지원사업을 활용하면 예산 걱정을 꽤 덜 수 있어요.
“팔지 말고 전세 주고 내려가라”는 말, 진짜 많이 들었죠
서울에서 여주로 내려올 때, 가장 많이 들은 조언이었어요.
"집은 팔지 말고, 전세 주고 내려가."
하지만 마음 한 켠엔 미련 없이 새 출발하고 싶었고,
그래서 과감히 집을 정리하고 귀촌을 선택했죠.
그런데 막상 내려와 보니 건축비가 예상보다 훨씬 더 들더라고요.
땅은 마련했지만, 기초공사부터 구조물, 내장재까지 들어가는 돈이 한두 푼이 아니었어요.
출처 : 유튜브 가온파의 힐링하우스
아래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유튜브 영상으로 연결 됩니다.
"땅은 샀는데 집 지을 돈이…" 이럴 때 흔히 생기는 고민
이런 고민, 저만의 이야기가 아니에요.
- 아파트를 정리하고 시골로 내려왔지만 건축비가 모자라는 분
- 시중은행 대출금리가 높아져 융자를 망설이는 분
- 소형 주택이면 얼마 안 들겠지 했다가 예산이 초과된 분
건축은 생각보다 예외 상황이 많고, 변수도 크니까요.
이럴 때 생각보다 도움이 되는 제도가 하나 있습니다.
이제 전원주택 지을 때, 건축비 걱정없이 지으세요. 45평까지~
건축비 절약 가능한 농촌주택개량지원사업, 뭔가요?
도시민이 농촌에 집을 짓는다면 신청 가능!
농촌주택개량지원사업은
도시 거주자가 농촌 지역으로 이주해 150㎡(약 45평) 이하 주택을 신축하거나,
기존 건축물의 대수선·증축을 진행할 때, 정부에서 건축자금을 저금리로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 신축 최대 2억 원까지, 연 2% 고정금리 융자 지원
✅ 150㎡ 이하 단독주택 대상
✅ 취득세 감면(최대 280만 원까지)
✅ 기존 건축물 대수선·증축 시 최대 1억 원까지 지원 가능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어디서 상담받죠?
1. 정부 지원은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해당 시·군청 건축과에서 신청해요
해당 제도는 지자체별 농촌주택개량사업 담당 부서에서 접수받습니다.
보통은 ‘건축과’ 또는 ‘도시과’ 등에서 담당하고 있고,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 여부와 절차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
신청 시 필요한 기본 조건은 아래와 같아요:
- 도시지역에서 농촌지역으로 이주하는 실수요자
- 주택 신축 또는 구조 변경 계획이 있고, 건축허가 또는 신고가 가능한 자
- 해당 지자체에서 정한 건축 면적(150㎡ 이하)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 신청기관 예시
- 여주시청 건축과
- 군산시청 도시계획과
- 각 읍·면·동 주민센터
2. 설계·시공 상담은 ‘건축업체’에서 진행해요
지원 대상이 된다고 해도, 실제 설계와 시공은 건축회사를 통해 진행해야 하죠.
이럴 때 상담해볼 만한 곳 중 하나가 바로 감성주택이에요.
감성주택은 농촌주택개량지원사업을 적용한 전원주택 시공 사례가 많은 업체로,
실제 고객들의 자금 계획부터 설계, 착공까지 세세하게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어요.
상담은 다음과 같이 가능합니다:
📞 전화 상담 : 감성주택 공식 홈페이지에 기재된 번호
💬 유튜브 검색 : [감성주택] 채널에서 실제 시공 사례 확인 가능
📝 방문 상담 : 미리 예약하면 현장 견학도 가능
이 제도를 활용하면 이런 점이 좋아요
- 시중 대출 대비 이자 부담이 확 줄어듭니다
(2억 원 대출 시 1년 기준 최대 800만 원 절약 가능) - 취득세 감면 혜택도 꽤 큽니다
(280만 원까지 전액 면제 가능) - 건축업체와 함께 설계하면서, 내게 맞는 집을 맞춤형으로 지을 수 있어요
- 부부 단독 거주, 은퇴 후 귀촌, 세컨드 하우스 등 다양한 활용 목적에 맞춰 설계 가능해요
특히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 시골에서 은퇴 후 부부 생활을 계획하시는 분
- 땅은 마련했지만 건축비 조달에 어려움이 있는 분
- 최대한 저렴한 이자로 집을 짓고 싶은 분
- 작지만 실속 있는 단층주택을 원하는 분
건축이 막막하게 느껴질 때, 정부 지원 하나만으로도
시작이 한결 가벼워질 수 있어요.
가장 중요한 건 정보를 알고 활용하는 것이니까요.
읍면동 주민센터나 지자체에 문의해서 내 땅이 대상이 되는지 확인해보시고,
설계나 시공은 농촌주택 시공 경험 많은 업체와 상담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지금이 바로 시작하기 좋은 때일지도 몰라요.
'*생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랜차이즈 창업 준비할 때 본사 말만 믿으면 안 되는 이유 (1) | 2025.04.05 |
---|---|
공대 진학 전 알아야 할 과 선택 기준과 취업 전망 (2) | 2025.04.04 |
집 보러 갈 때 꼭 확인할곳 물 새는 집 피하는 법 (1) | 2025.04.04 |
에어컨 설치 기준 알고 신축아파트 전기요금 아끼는 방법 (1) | 2025.04.04 |
앱테크 고수익 만드는 케이뱅크와 에어드랍 활용법 (2) | 2025.04.04 |